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북한산우이역과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2003년 민간 사업 제안 이후 여러 차례의 공사 중단과 재개를 거쳐 2017년 9월 2일에 개통되었다. 현대 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의 전동차 18개 편성이 운행되며, 하부 접촉식 제3궤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개통 후 예상보다 낮은 이용 수요와 고령자 무임 운송 비중 증가로 민간 운영 회사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져 서울시의 공적 자금 지원이 이루어졌다. 노선 연장 계획으로 솔밭공원역에서 방학역까지의 지선 건설이 추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전동차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독자기술로 제작된 무인 운전 경전철 차량이며,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우이신설선에서 운행한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우이신설경전철 (기업)
우이신설경전철은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구간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2007년 우이트랜스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2017년 1단계 구간을 개통했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영등포구 샛강역에서 관악구 관악산(서울대)역까지 7.6km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2022년 5월 개통되었으며 11개 역으로 구성, 기존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서울 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고 서울대학교 접근성을 향상시켰으며, 무인 자동운전 K-AGT 방식의 고무차륜 전동차를 운영한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신사역을 잇는 노선으로, GS건설이 사업을 주관하며, 하남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고,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어 재정 문제 우려가 있지만 위례신도시와 강남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20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20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강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강원도 강릉시 강릉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구간과 강릉선 KTX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동서 연결 및 평창 동계올림픽 교통 지원에 기여했고 향후 인천에서 원주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우이신설선 |
고유 이름 | 우이신설선(牛耳新設線) |
로마자 표기 | Uisinseolseon |
노선 종류 | 경전철 / 도시 철도 |
운영 체계 | 서울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기점 | 북한산우이역 |
종점 | 신설동역 |
역 수 | 13 |
개통일 | 2017년 9월 2일 |
사용 차량 | 18 × 2량 현대로템 UL000 |
노선 길이 | 11.4km |
선로 수 | 2 |
궤간 | 1,435mm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
속도 | 70km/h |
노선 정보 | |
노선 색상 | "●" "●" |
운영 회사 | |
건설 및 시공 | 우이신설경전철 |
운영 | 우이신설경전철운영 |
노선도 | |
![]() |
2. 연혁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2003년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을 시작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2017년 9월 2일에 개통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03년 6월 30일 |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40] |
2005년 10월 20일 |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41] |
2006년 12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기획예산처) |
2007년 4월 27일 | 사업계획서 접수 |
2007년 5월 28일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
2008년 7월 30일 |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완료[42](기획재정부) |
2008년 10월 31일 | 기공식 |
2009년 4월 9일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
2009년 9월 3일 | 실시계약 승인 |
2009년 9월 15일 | 착공[11] |
2011년 6월 1일 |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011년 11월 | 시공사 고려개발의 자금난으로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공사 중단[43] |
2013년 3월 | 전체 4개 공구에서 공사 재개[44] |
2015년 9월 | 현대로템 제작 차량 반입[12] |
2016년 8월 5일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외 10개 출자사의 사업 협약 해지 요구 등 서울특별시와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45] |
2016년 8월 26일 | 공사 재개[46] |
2016년 9월 | 시운전 시작[15] |
2016년 12월 1일 | 역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우이신설선경전철운영 주식회사 설립 |
2017년 3월 2일 | 역명 결정[47] |
2017년 7월 11일 | 다이어(운행계획) 변경으로 자동 운전 시스템 숙련 기간 확보를 위해 개통이 9월로 연기[19]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 개통[21] |
솔밭공원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방학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2024년 2월 국토부로부터 우이신설연장선 도시철도 기본계획이 승인되어, 2025년 착공, 2031년 준공 예정이다.[8]
2. 1. 사업 추진 과정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총 연장 11.4km, 차량기지 1개소, 정거장 13개소로 건설되었으며, 총 사업비는 9299억원이 소요되었다.[31] 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의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으며,[32] 열차는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된다.[33] 민간사업자인 주식회사 우이신설경전철이 30년간 운영하며, 시설 소유권은 준공과 동시에 서울시에 귀속된다.[34]사업 추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03년 6월 30일 |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40] |
2005년 10월 20일 |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41] |
2006년 12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기획예산처) |
2007년 4월 27일 | 사업계획서 접수 |
2007년 5월 28일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
2008년 7월 30일 |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완료[42](기획재정부) |
2008년 10월 31일 | 기공식 |
2009년 4월 9일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
2009년 9월 3일 | 실시계약 승인 |
2009년 9월 15일 | 착공 |
2011년 6월 1일 |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011년 11월 | 시공사 고려개발의 자금난으로 공사 중단[43] |
2013년 3월 | 전체 4개 공구에서 공사 재개[44] |
2016년 8월 5일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외 10개 출자사의 사업 협약 해지 요구 등 서울시와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45] |
2016년 8월 26일 | 공사 재개[46] |
2016년 12월 1일 | 역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우이신설선경전철운영 주식회사 설립 |
2017년 3월 2일 | 역명 결정[47]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 개통 |
2. 2. 건설 과정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총연장 11.4 km이며, 차량기지 1개소와 정거장 13개소가 건설되었다. 총 사업비는 9.299조원이 소요되었다.[31] 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고,[32] 열차는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중앙에서 전 구간을 관리하는 집중관리체계가 구축되었다.[33] 민간사업자인 주식회사 우이신설경전철이 30년간 운영하며, 사업 시설의 소유권은 준공과 동시에 서울시에 귀속된다.[34] 이 노선은 차량기지 구간을 포함하여 전 구간이 지하로 운영된다.[36]우이신설선의 건설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03년 6월 30일 |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40] |
2005년 10월 20일 |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41] |
2006년 12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기획예산처) |
2007년 4월 27일 | 사업계획서 접수 |
2007년 5월 28일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
2008년 7월 30일 |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완료[9](기획재정부) |
2008년 10월 31일 | 기공식 |
2009년 4월 9일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10] |
2009년 9월 3일 | 실시계약 승인 |
2009년 9월 15일 | 착공[11] |
2011년 6월 1일 |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011년 11월 | 시공사인 고려개발의 자금난으로 공사 중단[43] |
2013년 3월 | 전체 4개 공구에서 공사 재개[44] |
2016년 8월 5일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외 10개 출자사의 사업 협약 해지 요구 등 서울시와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45] |
2016년 8월 26일 | 공사 재개[14] |
2016년 12월 1일 | 역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우이신설선경전철운영 주식회사 설립 |
2017년 3월 2일 | 역명 결정[17], [18]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 개통[21] |
2. 3. 개통 및 운영
2009년 9월 15일 착공하여 2017년 9월 2일 개통되었다.[21] 총 사업비는 9299억원이 소요되었다.[39] 민간사업자인 주식회사 우이신설경전철이 운영 개시일로부터 30년간 운영하며, 사업 시설의 소유권은 준공과 동시에 서울시에 귀속된다.[34]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32] 열차는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된다.[33] 역무실과 매표소 등을 없애고 전 구간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집중 관리 체계를 구축했다.[33] 국내에서 운영하는 타 경전철 노선과는 달리 차량기지 구간을 포함하여 전 구간 지하화로 운영된다.[36] 양측 시종착역에서는 되돌림 회차 방식으로 열차가 들어오기 때문에, 진입한 승강장에서 회차 없이 곧바로 출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개통 및 운영과 관련된 자세한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03년 6월 30일 |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40] |
2005년 10월 20일 |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41] |
2006년 12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기획예산처) |
2007년 4월 27일 | 사업계획서 접수 |
2007년 5월 28일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
2008년 7월 30일 |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완료[42](기획재정부) |
2008년 10월 31일 | 기공식 |
2009년 4월 9일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
2009년 9월 3일 | 실시계약 승인 |
2009년 9월 15일 | 착공 |
2011년 6월 1일 |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011년 11월 | 시공사인 고려개발이 자금난으로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공사 중단[43] |
2013년 3월 | 전체 4개 공구에서 공사 재개[44] |
2016년 8월 5일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외 10개 출자사의 사업 협약 해지 요구 등 서울시와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45] |
2016년 8월 26일 | 공사 재개[46] |
2016년 12월 1일 | 역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우이신설선경전철운영 주식회사 설립 |
2017년 3월 2일 | 역명 결정[47]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 개통 |
2. 4. 향후 계획
솔밭공원역과 수도권 전철 1호선 방학역 간 지선 건설 계획이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포함되어 있다.[48][49][50][51] 솔밭공원역에서 방학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고, 2024년 2월 국토부로부터 우이신설연장선 도시철도 기본계획이 승인되어 고시됐다.2024년 내 입찰공고 및 시공사 선정 후 2025년 착공, 2031년 준공 예정이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솔밭공원역과 방학역을 잇는 3개의 신설역으로 구성될 의정부선 연장을 계획하고 있다.[8]
3. 노선 특징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총 연장은 11.4km이고, 차량기지 1개소와 정거장 13개소가 건설되었다. 총 사업비는 9.299조원이 소요되었다.[31]
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고,[32] 열차는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역무실과 매표소 등을 없애 전 구간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집중관리체계를 구축했다.[33] 민간사업자인 주식회사 우이신설경전철이 운영 개시일로부터 30년간 운영하며, 사업 시설의 소유권은 준공과 동시에 서울시에 귀속된다.[34] 국내에서 운영하는 다른 경전철 노선과는[35] 달리 차량기지 구간을 포함하여 전 구간이 지하로 운영된다.[36]
양측 시종착역에서는 되돌림 회차 방식으로 열차가 들어오기 때문에, 진입한 승강장에서 회차 없이 곧바로 출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항목 | 내용 |
---|---|
총 연장 | 11.4km[37] |
역 수 | 13개[38] |
운행 방식 | 무인 자동 운전 / 중앙 관제 시스템 |
착공 | 2009년 9월 15일 |
개통 | 2017년 9월 2일 |
총사업비 | 9.299조원[39] |
사업 시행 방법 | 민간투자사업 (BTO) |
구간 | 북한산우이역 - 신설동역 |
궤간 | 1435mm (표준궤) |
차량 | 2량 편성 |
운전 방식 | ATC, ATO (자동운전) |
최고 속도 | 80km/h (영업 시 70km/h) |
전기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방식) |
제어 방식 | VVVF 인버터 제어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공기 제동 |
4. 차량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전동차
이 노선은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인 현대로템이 제작한 18대의 전용 열차를 운영하고 있다. 이 열차들은 부산-김해 경전철에 투입되었던 열차들과 매우 유사하며, 동일한 모델일 가능성도 있다. 각 열차는 중앙에 자코브스 대차가 있는 2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스앤젤레스 경전철 차량과 같은 많은 도로 주행 고상 경전철 차량과 유사하다. 다만, 대부분의 노면전차가 사용하는 상부 가선이 아닌 하부 접촉식 제3궤조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런던의 도클랜즈 경전철 차량 초기 3세대와 더 유사하다. 그러나 DLR에서 사용되는 2량 또는 3량 열차와 달리 1량 단위로만 운행된다.[7][1][5]
5. 역 목록
- 환승역을 제외한 역명은 서울특별시고시 제2017-68호에 의한 것이며, 역간 거리는 사업자 홈페이지를 참고하였다.[52]
- 역번호는 S1번대가 부여되었으나[53], 실제 시설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소재지 | |
---|---|---|---|---|---|---|---|---|
우이차량사업소 | 서울특별시 | 강북구 | ||||||
S110 | 북한산우이(도선사입구) | Bukhansan Ui | 北漢山牛耳 | 0.0 | ||||
S111 | 솔밭공원 | Solbat Park | 松林公園 | 0.8 | 0.8 | |||
S112 | 4.19민주묘지(덕성여대) | April 19th National Cemetery (Duksung Women's Univ.) | 4.19民主墓地 | 0.7 | 1.5 | |||
S113 | 가오리 | Gaori | 加五里 | 0.9 | 2.4 | |||
S114 | 화계 | Hwagye | 華溪 | 0.8 | 3.2 | |||
S115 | 삼양 | Samyang | 三陽 | 0.8 | 4.0 | |||
S116 | 삼양사거리 | Samyangsageori | 三陽四거리 | 0.7 | 4.7 | |||
S117 | 솔샘 | Solsaem | 松泉 | 0.8 | 5.5 | |||
S118 | 북한산보국문(서경대) | Bukhansan Bogungmun (Seokyeong Univ.) | 北漢山輔國門 | 1.2 | 6.7 | 성북구 | ||
S119 | 정릉(국민대입구) | Jeongneung (Kookmin Univ.) | 貞陵 | 1.2 | 7.9 | |||
S120 | 성신여대입구(돈암) | Sungshin Women's Univ. (Donam) | 誠信女大入口(敦岩) | 수도권 전철 4호선 | 1.2 | 9.1 | ||
S121 | 보문 | Bomun | 普門 | 서울 지하철 6호선 | 0.9 | 10.0 | ||
S122 | 신설동 | Sinseol-dong | 新設洞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1.0 | 11.0 | 동대문구 |
모든 역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해 있다.
6. 운영 관련 문제점
개통 후, 당초 노선 설계 당시 예측했던 경전철 이용 수요 대비 40~50% 수준의 수요만 있어 민간 운영 회사의 적자 경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여기에 고령자 무임 운송 비중이 높은 영향까지 더해져 결국 개통 3년여 만에 민간 운영 회사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졌고, 2021년 1월 11일 노선 소유자인 서울특별시가 민간 운영 회사에 6100억원에 달하는 공적 자금을 지원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대신 요금 결정권은 서울시에 귀속되었다.[22]
7. 관련 기관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건설 및 운영과 관련된 주요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우이신설경전철㈜'''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을 건설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등 국내 대형 건설사들과 현대로템이 출자하였다. 2007년 우얼 트랜스(牛耳トランス)社로 설립되었으나, 201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26]
- '''우이신설경전철운영㈜'''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운영 및 역무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우진산전의 완전 자회사로, 2016년 설립되었다.[28]
7. 1.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UiTrans LRT Co., Ltd.영어, 한자: 牛耳新設輕電鐵株式會社)는 서울특별시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을 건설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등 국내 대형 건설사들과 현대로템이 출자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 * 2007년 5월 25일 - 포스코건설 등 16개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권을 획득[25]
- * 2007년 11월 22일 - '''우얼 트랜스(牛耳トランス)社'''로 설립[24]
- 2014년 3월 27일 -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영어 표기는 유지)[26]
우이신설선 개통 후, 당초 노선 설계 당시 예측되었던 경전철 이용 수요 대비 40~50% 수준의 수요만 있어 민간 운영 회사의 적자 경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고령자 무임 운송 비중이 높은 영향까지 더해져 개통 3년여 만에 민간 운영 회사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졌고, 2021년 1월 11일 노선 소유자인 서울특별시가 민간 운영 회사에 6100억원에 달하는 공적 자금을 지원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대신 요금 결정권은 서울특별시에 귀속되었다.[22]
7. 2.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우이신설경전철운영'''(UI-SINSEOL LRT OPERATION Co., Ltd.)은 우이신설선의 운영 및 역무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K-AGT 등을 개발한 철도 차량 제작 업체인 우진산전의 완전 자회사이다.- 연혁
- * 2016년
- ** 4월 - 우이신설경전철(牛耳新設軽電鉄)사로부터 운영 사업을 수탁.[29]
- ** 12월 1일 - 설립.[28]
- * 2018년 7월 - (인천교통공사가 임시로 운영하고 있는) 의정부 경전철의 운영권 입찰에서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최우선협상권을 획득. 계약이 체결되면 2042년 6월까지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30]
참조
[1]
웹사이트
서울시 우이-신설 무인운전 경전철
https://www.hyundai-[...]
Hyundai Rotem
2017-03-02
[2]
뉴스
우이신설선 내달 2일 개통…출퇴근 30분 빨라진다
http://www.hankookil[...]
Hanguk Ilbo
2017-08-29
[3]
웹사이트
Seoul plans new 'light' subway line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5-01-27
[4]
웹사이트
서울시 지하철수송 통계
http://data.seoul.go[...]
2021-05-21
[5]
웹사이트
우이-신설 경전철 차량번호 부여 계획 보고
http://opengov.seoul[...]
City of Seoul
2015-06-19
[6]
웹사이트
우이신설도시철도에 오신결 환영합니다.
http://www.ui-line.c[...]
2017-09-04
[7]
웹사이트
서울 최초 경전철, 우이신설선에 대한 모든 것
http://mediahub.seou[...]
Seoul City
2017-02-28
[8]
웹사이트
우이신설역 연장 추진 확정, 솔밭공원~방학역 연결
http://www.womancs.c[...]
2019-02-21
[9]
뉴스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연내 착공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8-07-30
[10]
뉴스
우이 ~ 신설 경전철 2013년 완공
http://www.munhwa.co[...]
문화日報
2009-04-10
[11]
뉴스
우이 ~ 신설 경전철 오늘 착공
https://news.naver.c[...]
聯合ニュース
2009-09-10
[12]
뉴스
첫 입고되는 우이∼신설 경전철용 미니 전동차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5-09-12
[13]
뉴스
우이신설경전철, 내년 7월로 개통 연기
http://www.ebn.co.kr[...]
EBN
2016-08-23
[14]
뉴스
우이-신설 경전철 26일 공사 재개…내년 7월 개통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6-08-25
[15]
뉴스
ソウル市、無人軽電鉄時代が目の前に…7月に開通予定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7-03-03
[16]
뉴스
우이 경전철 개통 2016년으로…공정률 45.1%
http://news1.kr/arti[...]
news1
2014-03-11
[17]
뉴스
우이신설선 13개 驛 명칭 확정
http://news.kmib.co.[...]
국민日報
2017-03-01
[18]
뉴스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7-68호
http://www2.seoul.go[...]
서울市
2017-03-02
[19]
뉴스
우이경전철 개통 연기…안전성 확보 때문
http://mbn.mk.co.kr/[...]
MBN
2017-07-11
[20]
뉴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7월29일 개통
http://news.khan.co.[...]
경향新聞
2017-02-12
[21]
뉴스
우이신설선 개통 첫날…박원순 시장 등 참석 개통식 열려
N1004375150
SBS NEWS
2017-09-02
[22]
뉴스
서울시, 파산 위기에 놓인 우이신설선에 610억원 지원, 사업 방식 변경
https://news.v.daum.[...]
News 1
2022-01-11
[23]
웹사이트
회사소개>찾아오시는길(会社紹介>行き方)
http://www.ui-line.c[...]
[24]
웹사이트
회사소개>우이신설경전철(주)>연혁(会社紹介>牛耳新設軽電鉄(株)>沿革)
http://www.ui-line.c[...]
[25]
뉴스
서울시, 경전철 사업에 우이신설(주) 협상대상자 지정
https://news.naver.c[...]
Naver/Newsis
2007-05-27
[26]
웹사이트
법인명이 변경되었습니다.
http://uitrans.co.kr[...]
2014-08-17
[27]
웹사이트
회사소개>찾아오시는길(会社紹介>行き方)
http://www.ui-line.c[...]
[28]
웹사이트
회사소개>우이신설경전철운영(주)>연혁(会社紹介>牛耳新設軽電鉄運営(株)>沿革)
http://www.ui-line.c[...]
[29]
웹사이트
제조사가 운영까지…교통량 예측 매번 실패
http://www.thebell.c[...]
the Bell
2016-11-11
[30]
뉴스
의정부경전철 우선협상대상자에 '신한 BNP 컨소시엄'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8-07-24
[31]
뉴스
서울 경전철 목동·DMC·우이연장선 '빨간불'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11-20
[32]
뉴스
서울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노선 최종 확정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9-01-22
[33]
뉴스
서울시 최초 '우이~신설 경전철' 착공…2014년 개통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9-09-10
[34]
뉴스
우이~신설 경전철사업 내달 착공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04-10
[35]
목록
경전철 목록
[36]
일반
[37]
뉴스
서울 우이~신설 경전철 '첫 삽'…2014년 완공
http://news.sbs.co.k[...]
SBS
2009-09-10
[38]
뉴스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착공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9-09-11
[39]
뉴스
서울 경전철 목동·DMC·우이연장선 '빨간불'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11-20
[40]
웹인용
우이신설 경전철(주) - 사업추진현황
https://archive.toda[...]
2014-09
[4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24호
[42]
뉴스
우이동-신설동 경전철 연내 착공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8-07-30
[43]
뉴스
일하고 못 받은 돈 최소 264억…"애 학원도 끊었다"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3-06-28
[44]
뉴스
서울시 재정만 쏟아부은 우이경전철 사업…특혜 의혹?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3-04-08
[45]
뉴스인용
경전철 우이-신설선 공사중단 위기…서울시 "과태료·손배 검토"(종합)
http://www.yonhapnew[...]
2016-08-05
[46]
뉴스인용
우이-신설 경전철 26일 공사 재개…내년 7월 개통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8-25
[47]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7-68호
http://event.seoul.g[...]
2017-03-02
[48]
뉴스인용
경전철 7곳 노선 확정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7-06-27
[49]
뉴스
강북횡단선·서부선 담긴 서울 철도망 계획, 국토부 승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20-11-17
[5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 2020-822호
http://m.molit.go.kr[...]
2020-11-17
[51]
웹사이트
주요업무보고
https://news.seoul.g[...]
서울시
[52]
웹사이트
우이신설 경전철(주) - 노선안내
http://www.ui-line.c[...]
[53]
웹사이트
도시철도 우이-신설선 역명제정 및 다국어 표기 알림 - 우이신설경전철 역명자료 문서파일
http://opengov.seo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